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왕들의 부부싸움


아무리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이라고 하여도 그들도 한명의 인간이고 자신의 욕망에 대하여서 그 대처법을 찾아서 고민을 하는 일반적인 인물들이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유교를 숭상을 하였고 유교중에서도 효를 중시를 하면서 살아가고 있었던 선조들은 중국과 같은 왕정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오히려 일본의 막부정치와 비슷한 신하들이 실제적인 권력을 가지고 왕들은 신하들의 의견에 의하여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자신이 한 나라의 주권을 가지고 있는 일인이라는 사실에 대하여서 명확히 인식을 하고 있는 경우에도 엄청난 일거리에 대한 고뇌로 인하여서 신하들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그러한 인식을 하고 있는 경우에도 자신을 억압을 하는 신하들의 행위에 대하여서 아무런 대응을 못하고 허무하게 움직이는 왕들과 신하들의 움직임에 대하여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찾기를 원하여서 일종의 공포를 보여주는 왕들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지만 그러한 왕들의 행위도 정확한 주제인 왕과 중전의 일종의 싸움의 방법에 대하여서 실록에 기록이 되어있는 진실을 가지고 작가의 해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전은 왕이라는 나라의 주권을 상징을 하는 인물의 유일한 정처이면서 그녀에게서 태어난 아들이 차대의 왕이 된다는 사실에 대하여서 법적으로 보장을 받고 있는 인물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여인이 아니라 정치적인 인물로 생각을 할수가 있고 실제적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반을 다지기 위하여서 많은 노력을 하였던 궁중의 여인들과 그러한 여인들을 이용을 하여서 자신들의 기반을 확고하게 만들기 위하여서 노력을 하였던 신화와 왕들간의 대립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중전의 위치에 올라가기 위하여서 많은 노력을 하였던 집안의 경우에는 자신들이 그동안에 투자를 하였던 원금에 대하여서 이자와 수익을 생각을 하는 경우가 발생을 하고 있고 중전이 되었던 여인들도 차후에 발생을 할수가 있다고 생각이 되어지는 많은 풍파에 대비를 하여서 자신의 힘이 되어줄수가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을 하고 그러한 힘으로 신하들이 가지고 있는 권력과 함께 왕의 총애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파악을 할수가 있는데 힘을 가지기 위하여서 노력을 하였지만 자신의 힘과 함께 파멸을 한 경우도 있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힘으로 인하여서 많은 성공을 이룩한 경우도 있는데 그러한 양방의 경우를 보여주고 있고 왕들도 중전과 같이 자신의 권력을 강화를 하기 위하여서 여인들을 이용을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장면들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대부의 경우라고 하여도 여성의 집안이 남성의 집안보다 더욱 권세가 있는 경우에는 남성이 주눅이 들고 집안의 실권은 여성이 가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모습을 왕실이라는 조선의 최고의 권위를 자랑을 하는 집안에서도 찾아볼수가 있는 경우도 발생을 합니다. 왕들이 자신의 권력을 위하여서 여인들을 이용을 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일이 발생을 하는 경우가 적지만 왕들의 권위가 약하고 오히려 신하들의 힘이 강력한 경우에는 왕들의 모습이 위축이 되어버리고 여성이 권력을 가지고 자신의 의지로 권력을 움직이는 모습을 볼수가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는 많은 문제가 발생을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여성이 권력을 가지고 활동을 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것은 여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처지에 대하여서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차후에 권력을 가지고 있었던 여성에 대하여서 논하는 장면에서 그의 업적에 대하여서 다양한 불만을 보여주는 모습을 한다는 것을 알수가 있고 그러한 경우의 장면보다는 권력을 위하여서 여성을 일종의 장기말로 생각을 하고 자신의 의지로 장기말을 운용을 하여서 자신의 정권을 강화를 하였던 왕들의 모습이 더욱 많다는 것을 알려주는 책입니다.
이 책은 조선의 일곱 왕의 역사를 부부의 싸움을 통해서 알아봄으로써 인간적인 왕과 왕비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음은 물론, 역사적 사건의 배경까지 자연스레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개념의 역사 대중서이다. 왕과 왕비이기 이전에 남편과 아내로서의 평범한 삶, 그리고 정치적 쟁점이 부부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등 새로운 시각에서의 왕실 부부관계를 접해볼 수 있다.

조선시대나 지금이나 결혼이란 개인과 개인의 결합이란 의미보다는 가문대 가문의 결합이며, 남녀 간의 애정의 결합 이전에 남녀관계의 공식적인 선언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여기에 ‘왕’과 ‘왕비’라는 타이틀까지 더해진다면, 이들의 부부생활은 어떠할까? 저자는 조선왕조실록 이라는 공식 기록 속에서 내밀한 부부생활을 추측할 수 있는 단서들을 세밀하게 찾아 정리해 놓았다.


프롤로그: 그들은 결혼인가 결합인가

제1장 나쁜 남자 태종(1367~1422)
제2장 파파보이 세종(1397~1450)
제3장 여자를 멀리한 문종(1414~1452)
제4장 폭군 아들을 낳은 성종(1457~1494)
제5장 속을 알 수 없는 남자 중종(1488~1544)
제6장 아들을 질투한 선조(1552~1608)
제7장 권력 앞에 냉정한 숙종(1661~1720)

에필로그 부부생활에 감춰진 역사의 재발견

부록 조선 왕조 역대 왕의 중전 책봉 기록